당신의 귀 건강은 안녕하십니까? 난청증상의 원인과 해결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당신의 귀 건강은 안녕하십니까? 난청증상의 원인과 해결

2024.10.17

본문

a83b9d9923fed06c04be3fc586c35de1_1729132026_2338.jpg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약 28만명에 달하던 난청 환자의 수가 2017년에는 35만명으로 5년 사이 25%나 증가하였다고 한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난청환자 현황을 살펴보니 70대 이상이 34.9%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60대, 50대 순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의 난청환자들의 경우 노화가 시작되면서 달팽이관에도 노화현상이 나타나며 이와 같은 증상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청력감퇴, 난청증상 등을 보이는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30~40대부터 청력감퇴가 시작되는데, 특히 요즘 젊은 층에서는 지속적인 소음으로 인해 청력이 떨어지는 소음성 난청 증상으로 이비인후과를 찾는 환자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난청 증상의 경우 매우 천천히 조금씩 나빠지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난청초기증상을 인지하는 것 자체가 어렵고, 스스로 인지할 때쯤에는 이미 어느 정도 난청증상이 심해진 경우가 대부분인 경우가 많다.

시흥 센트럴이비인후과의 원중연 원장은 “난청의 경우 청각세포의 손상에서 비롯되는 증상이다. 보통 소리가 귀로 들어오면 고막이 진동하게 되면서 달팽이관 내에 있는 림프액에 파동을 일으켜 청각세포를 자극하게 되는데, 과도하게 큰 소리가 전달되거나 소음이 지속적으로 심하면 청각세포가 소음에 오래 노출되면서 칼륨, 나트륨 등의 전해질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세포가 완전히 파괴되고 회복되지 못하여 난청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라고 말한다.

난청 증상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상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방치함으로써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기본적인 의사소통 및 학업, 직업적인 측면에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도 많은 제약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원 원장은 “난청증상의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가까운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청력검사를 받아볼 것을 추천한다. 특히 난청 개선을 위해 보청기를 구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청성뇌간반응검사(ABR)장비 등을 갖춘 이비인후과에서의 검사를 통해 청각장애진단을 받게 된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지원으로 보청기 구매 시 본인부담이 거의 없이 보청기 구매가 가능하기도 하다는 점도 참고하길 바란다”고 덧붙여 말했다.

평소 생활습관 속에서 난청 예방을 위해 지나친 소음에 노출 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정기적인 이비인후과 검사를 통해 청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 또한 기억해야 할 것이다. 


[출처] - 국민일보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환자의 권리와 의무